1 취지
투표소에서 줄을 서지 않게 만들기 위해 투표소 번잡도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앱을 마스크 재고 정보 앱처럼 만들면 어떨까?
2 관련 정보
2020 총선: 사전투표(4.10~4.11) / 투표(4.15)
전국 투표소 14,000군데. 사전투표소 OO군데.
3 이슈
- 의도적으로 데이터 입력 및 출력을 왜곡할 가능성이 있다.
- 가짜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아야 한다
- 투표소에서 관리한다.
- 데이터를 왜곡해서 서비스하지 않는 것
- 1안) 선관위만 서비스한다.
- 2안) 앱 개발을 신청 받고 일부의 개발자나 기업에게 승인한다.
- 가짜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아야 한다
- 현장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입력해야 할까?
- 추가로 피씨와 같은 장비까지 활용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.
- 스마트폰으로 간단하게 혼잡도만 입력한다.
- 시범 서비스를 할 시간이 없다
- 사전 투표일 이틀과 본 투표일 하루만 활용 가능하다.
4 개발
4.1 데이터 입력툴 & API
- 투표소를 선택하고 혼잡도를 입력
- 지역별로 투표소 목록과 혼잡도 데이터를 확인하는 API를 만든다
- API 서버 로드밸런싱 이슈
4.2 지도 앱
- API를 활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보여준다
5 참고
-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전투표정보 https://www.data.go.kr/dataset/15040586/openapi.do
6 회의
- 2020-03-28(토)
- 참가자: 권오현, 진태양, 손성민, 김성준, 이준수
- 결론: 우선 사전투표소 및 투표소 등의 정보를 정리하고 기다려 보기로 하자.